상단으로

朝鮮通信使硏究

원고작성 지침

HOMEFor contributors 원고작성 지침

1. 한글 원고는 ‘한글 97’이나 그 이상의 버전으로, 그리고 일본어 원고는 MS-WORD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
2. 논문의 체제는, ‘논문 제목-필자명(각주: 소속)-목차-국문초록-주제어-본문-참고문헌-외국어 초록-외국어 키워드’로 한다.

① 국문초록의 글자 수는 띄어쓰기 포함 1,000자 이내로 제한한다.
② 주제어와 외국어 키워드는 5개 이상 명시해야 한다.
③ 본문은 한글로 적되 괄호 안에 한자를 병기하여 작성하는데, 이때 한글과 한자의 음이 같을 때는 한자를 ( )로, 다를 때는 [ ]로 표기한다. 일본인 및 일본 지명의 경우에는 일본의 현지어음을 한글 표기의 기준으로 삼는다.

3. 본문의 장-절-항-목 부호는 1-1)-(1)-①의 순서로 붙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
4. 원고를 작성할 때 다음의 기호 체계를 따른다.

① 국내 논저
논문: 「 」
단행본 및 학술지: 『 』
② 외국 논저
논문: ″ ″
단행본 및 학술지: 이탤릭체
③ 그림 등의 작품명은 〈 〉
④ 본문 안의 직접 인용은 “ ”로, 강조는 ‘ ’
⑤ 표와 그림: [표 1], [그림 1]

5. 주(註)는 다음과 같이 기재한다.

① 각주(脚註)를 원칙으로 한다.
② 각주를 다는 경우, 한글 원고의 경우 ‘한글’의 ‘각주’ 기능을 사용하여야 한다.
③ 저서는 저자, 『서명』, 출판사명, 발행연도, 쪽 순으로 표시한다.
홍길동, 『춘향전 연구』, 남원출판사, 1995, 106쪽.
洪思重, 『韓國人の美意識』, 三修士, 1984, p.296.
④ 번역서는 저자, 역자, 『서명』, 출판사명, 발행연도, 쪽 순으로 표시한다.
이몽룡 저, 성춘향 역, 『회답겸쇄환사의 일본 인식』, 부산출판사, 2012, 201쪽.
⑤ 학술지 게재 논문의 경우에는 저자, 「논문제목」, 『학술지명』 권․호, 발행기관, 발행년도, 쪽 순으로 정리하며, 단행본 게재의 경우에는 필자, 「논문제목」, 저자, 평자 또는 역자, 『서명』, 출판사명, 발행연도, 쪽 순으로 정리한다. 학위논문의 경우에는 저자, 「논문제목」, 학위수여학교 및 학위, 발행연도, 쪽 순으로 표시한다.홍길동, 「조선통신사행로연구」, 『조선통신사연구』 1호, 조선통신사학회, 2011, 10쪽.성춘향, 「조선통신사와 문화교류」, (사)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편, 『조선통신사』, 다인, 1996, 255쪽.이몽룡, 「조엄의 『해사일기』 연구」,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, 2017, 9쪽.
⑥ 신문 기사: 필자, 「기사제목」, 『신문 이름』, 발행 년 월 일
홍길동, 「세계기록유산 조선통신사기록물, 온라인으로 감상」, 『경향신문』, 2020. 10. 7.
⑦ 같은 저자의 책이나 논문 등이 두 번 이상 인용될 경우, 서지사항을 처음과 동일하게 작성한다.
⑧ 漢籍古書의 경우 다음의 예 가운데 하나를 따른다.
『論語』 卷1, 「學而」.
『英祖實錄』 卷51, 英祖 16年 6月 壬申(3日).
이때, 본문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는 “ ”를 사용한다.
『高麗史』 卷71, 志25, 樂, 俗樂, 翰林別曲, “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”
⑩ 인터넷상의 자료를 인용할 때는 다음의 예와 같이 표기한다.
http://news.joins.com/nknet.hml (검색일 : 2004. 9. 10)

6.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.

① 논문과 저서의 구별 없이 한국, 중국ㆍ일본, 비한자문화권의 순서로 한다.
② 한국의 참고문헌은 저자명의 가나다 순, 중국ㆍ일본의 것은 저자명 한자음의 가나다순, 비한자문화권의 것은 알파벳순으로 한다.
③ 참고문헌의 기재는 위의 주(註) 기재와 같은 방법(5의 ③∼⑤)으로 한다.

7. 그 밖의 사항은 일반적인 관행에 따르거나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.


부 칙

제1조 이 규정은 2005년 6월 18일에 제정되고 2009년 4월 1일에 개정되었으며 개정된 규정은 2009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.
제2조 이 개정 규정은 2011년 4월 1일에 개정되었으며 개정된 규정은 2011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.